본문
[제12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제2차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 수립(서울=뉴스1) 송화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소비 확산과 함께 소량·다품목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3차원(3D) 프린팅 핵심 소재와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고 판단, 오는 2022년까지 3D프린팅 기술 시장을 1조원 규모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22일 서울시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개최된 제12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도의 '제2차 3D 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이 심의·의결됐다. 이번 회의는 3D프린팅, 정보보호산업, 실감콘텐츠 등 새롭게 성장하고 중요성이 커지는 산업들의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 참석한 정부·민간 관계자는 3D프린팅 분야 육성을 위해 정부가 그간 추진해 온 관련 정책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산업 환경변화를 반영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제2차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2020년~2022년)을 수립했다.
현재 글로벌 3D프린팅 산업은 항공, 우주 등 고가산업용 시장 중심으로 견고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전문시장 조사기관 월러스에소시에이츠에 따르면 지난 2018년 97억달러(약 11조원) 규모였던 3D프린팅 시장은 오는 2024년까지 355억달러(약 43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 3D프린팅 역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 따르면 국내 3D프린팅 시장은 지난 2015년 2230억원 규모에서 2018년 3958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다만 교육·생활 분야 중심으로 성장해 다양한 산업으로 확산이 더딘 상황이다.이에 정부는 산업 현장에 3D프린팅 활용을 확산하기 위해 Δ의료기기, 건설 등 유망분야 기술 실증 Δ산업단지 대상 3D프린팅 기술 전(全) 생산공정 적용을 통한 사업화 성공모델 발굴 등을 추진한다.또한 Δ소재·장비·소프트웨어 등 핵심기술 자립화 Δ설계·공정제어 분야 3D프린팅 요소기술 지능화 등 3D프린팅 미래기술 선점 Δ전문인재 양성(설계·신소재 분야 대학‧대학원 전문과정 운영) Δ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설립 등 3D프린팅 산업의 기업환경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이다.정부는 이번 진흥계획을 통해 오는 2022년까지 국내 3D프린팅 시장규모를 1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지난 2018년 3곳에 불과했던 연 매출액 100억원 이상의 3D프린팅 기업을 10개로 키워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나아가 미국 대비 79.9%에 불과한 국내 관련 기술경쟁력을 2022년까지 85%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과기정통부 측은 "이날 논의된 정보통신분야 주요 정책들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향후에도 민간과 관계부처 간 협력과 소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했다.한편 과기정통부는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 제 5조에 따라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초기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과제(시장 수요창출, 인프라구축 등)를 골자로 하는 제1차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수립·추진한 바 있다.
제2차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 비전 및 추진과제 (기본계획 갈무리) © 뉴스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4710608?sid=105&lfrom=facebook
- 이전글3D 프린팅 경량화 기술로 하늘을 날자(주승환 적층제조사용자협회장·인하대 교수) 21.10.13
- 다음글20년 하반기 중소·벤처 R&D 지원 사업 시작 21.10.13